본문 바로가기

자료실/- 여성모임과 나

신뢰와 우정의 문이 열리는 곳 -송현숙-

신뢰와 우정의 문이 열리는 곳

-송현숙-

나는 1972년 독일에 도착해서 아주 작은 도시의 한 병원에서 4년간 간호보조사로 근무했었다. 미술공부를 하기 위해 1977년 함부르크로 이사를 한 후, 학생기숙사에서 살게 되자 한국 사람들과 만나는 날이 점점 적어갔다. 병원에서 같이 근무하며 친하게 지낸 친구들은 다시 귀국을 했거나 아니면 다른 도시로 가서 자기 생활에 바빠 서로 간의 연락도 끊겼다.

 대학에서는 나이가 들어 공부를 하려고 하니 배워야할 것도 많고 독일어도 새로 익혀야 했다. 또 독일친구와 연애도 하고 있을 때였다. 그래서 나와 비슷한 한국 사람들과 가깝게 어울리지 않아도 잘 생활해 나갈 줄 알았다.

 그런 후 1년이 지나서부터 무엇인가 나 자신이 한국과 아주 멀어진 것 같고 나의 정체성이 모두 상실된 듯 하고, 정신적 갈등 문화적 이질성 그리고 내가 누구인가 하는 질문이 들면서 한국인이면서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하는 사람과 어울리고 싶은 마음이 강하게 느껴졌다. 왜냐하면 언어 공부를 하면서 한국에서 유학 온 한국학생들과 몇 명은 알고 지내기도 했지만 주로 일류대학을 나온 남학생들이었기 때문에 이질감이 들고 주눅만 몹시 들었던 것 같다. 마음의 문도 꽉 막혀버리기만 했다.

 이러한 나의 암흑기에 어떻게 소문을 통해 지금 남편인 Jochen하고 Berlin에 가는 기회에 독일 목사님 한 분을 찾아 뵙게 되었다. 그 분께서 한국인들이 활동하는 단체를 많이 알고 있다는 소식을 미리 들었었던 것 같다. 그 분께서 재독한국여성모임 회원 연락처를 주어서 전화하고 집으로 찾아가 그 회원을 만났었다. 그 분도 간호사로 일하고 난 후 공부하고 있었고 한국인 남편도 광부로 왔다가 공부하고 있었다. 그 회원이(지금은 한국에서 살고 있다.) 1978년 재독한국여성모임 창립세미나가 프랑크푸르트에 있으니 참석해 보라고 해서 침낭을 들고 가슴 설레며 기차를 타고 혼자서 출발했었다. 처음 참석했는데 무척 반갑게 맞이해 주고 지금까지 경험해 보지 못한 분위기를 체험했었다. 어쩌면 꼭 초등학교 입학할 때의 그 순수한 마음, 서로가 서로를 긍정적인 호기심으로, 말없는 동질감, 서로가 양보하고 배려하는 등, 나는 정말 잊을 수 없는 감동을 받았다. 서로 돕는 여성모임이란 말이 그 때 모인 여성들 몸에서 울려 퍼져 나온 듯한 실감을 했다. 창립세미나 때, 한 교회에서 그냥 무엇을 깔고 바닥에서 여럿이 나란히 누워 잠을 잤지만 참 다정다감했던 순간이었다. 그런데 또 더 기뻤던 순간은 함부르크 지역에서 참석한 약 5-6명의 여성들을 만난 일이었다. 너무너무 반가웠다. 그 이후 한 동안 함부르크 지역에서도 매달 만나서 공부도 하고 친목도 돋우었고, 대표모임, 봄 세미나, 가을 총회도 열심히 참석했다. 그 때 참석했던 회원들은 지금도 여전히 친구로 남아있다. 나는 재독한국여성모임을 통해 나 자신을 발전시키는데 많은 자극을 받으며 배웠고, 그림을 그리며 내 정체성을 찾는데도 내용적으로 좋은 영양을 받았다. 좋은 책을 서로 빌려주며 용기를 주고, 대표모임에서 만날 때는 밤을 새우며 많은 이야기를 서로 주고받으며 재충전을 했었고, 나는 한국에 11년 동안 못 가서 향수병에 시달릴 때는 많은 위로를 받기도 했었다. 아이를 키우면서도 여러 세미나를 통해서 또 다른 회원들이 먼저 경험한 것을 들으며 이중 언어의 중요성도 알게 되었다. 나는 간호보조원으로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차별대우를 받으며 생활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참 예민했었다. 그러나 간호원, 간호보조원, 유학생들 간에 서로 신분에 대한 차별을 하나도 느낄 수가 없었다. 그 때 참석한 회원들 모두가 대단하고 활동성 있고 사회의식과 역사의식도 높았고 새로운 눈을 뜨려고 하는 새 회원들도 참 많아 보였다. 나도 그 당시 독일의 68학생운동의 영향을 받아 한국의 사회, 정치, 역사에 대해서 새롭게 보고 배우고 싶은 마음이 들기 시작했기에 더 큰 관심이 생겼고 회원들에게 신뢰와 우정의 문이 열리기 시작한 중요한 시기였었다. 나는 그 때부터 재독한국여성모임의 회원 중에서 소중한 친구들을 많이 만났다. 어떤 회원은 한국으로 귀국했다. 그러나 독일에서 살거나 한국에서 살거나 친구가 된 회원은 가끔 만나도 정말 허물없는 우정의 관계가 지속되는 것 같다. 그 이외에도 할 말이 참 많은데 글로 표현을 잘 못하겠다. 이번 25주년 기념행사를 하면서 구 여성모임한테도 초청장을 보내어 우리들 자신들을 위해 잔치를 하게 되어 더욱 뜻 있는 행사가 될 것 같아 흐뭇한 마음이 든다.